- 영문명
-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Disaster Management Policy Satisfaction of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6 Areas of Local Safety Index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변성수 조택희 배민기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2, 15~2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지역맞춤형 재난안전정책을 마련하고 원활하고 효율적인 정책집행을 위해 재난안전 분야별 지역주민의인식과 재난관리정책에 대한 지역주민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재난관리에관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분석하여 재난관리정책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안전지수 6대 분야 항목을 활용한 재난안전 부문별 인식 및 만족도 조사를 충북도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책 인지도 및 수행도를 선정하였다. 정책 인지도와 수행도 모두 만족도와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재난관리정책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관리 정책 및 사업에 대한 적극적 홍보, 안전취약계층 특성을 고려한 정보전달 수단 개발, 지역특성을 고려한 재난관리 대책 및 전략 수립, 안전의식제고 및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추진 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the disaster management policy by analyzing local residents' perceptions of disaster managemen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each disaster safety sector using items in the six major areas of the regional safety index. In this study, policy literacy and performance were selected as factors affecting policy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both policy awareness and performance had a positive (+) influence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Also, measures to improve disaster management policy satisfaction include active promotion of disaster management policies and projects, development of information delivery mea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ulnerable, establishment of disaster management measures and strategi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omotion of safet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재난관리정책 만족도에 관한 이론적 배경
Ⅲ.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정책 만족도 실증분석
Ⅳ. 고찰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