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小篆과 古隸의 ‘一體二用’說에 대한 考察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중국인문학회
저자명
李相機
간행물 정보
『중국인문과학 』제29집,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汉代经学的繁荣引起小学的发达, 从而有文字学的兴起, 始有字体分别的自觉. 本文从语源学的角度出发, 澄清篆、隸名义及其关係, 认为小篆和古隸是一种书体的兩种不同用途, 即‘一体二用’. 古隸是手写体, 小篆是美術体. 古隸的写法, 如睡虎地秦简上文字的写法, 才符合先秦(包括秦代)书写的真实情况; 小篆是在古隸的基础上经过工艺加工的产物, 先秦书写的物质条件和技巧无法写出像泰山刻石上小篆的样子. 这个结论对重新理解‘秦书八体’等问题有帮助; 对时贤提出的‘小篆为战国文字说’、‘小篆不是汉字形体演变的一个环节’、‘书同文以隸书为主’等问题有所辩正.

영문 초록

목차

Ⅰ. 緖論
Ⅱ. 篆書와 隸書의 名義
Ⅲ. 小篆과 古隸의 ‘一體二用’說
Ⅳ.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李相機. (2004).小篆과 古隸의 ‘一體二用’說에 대한 考察. 중국인문과학 , (), 1-22

MLA

李相機. "小篆과 古隸의 ‘一體二用’說에 대한 考察." 중국인문과학 , (2004): 1-2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