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梁忠烈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28집, 195~20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국문 초록
宋代以後的许多诗论家认为宋诗的创作倾向与特点是以意为主, 由此加以批评, 认为宋诗不如唐诗. 本文主旨在于分析这种和唐诗不一样走向的追求‘以意为主’的诗学主张以及形成这种诗学主张的主要文化背景. 在被称为士大夫社会的宋代社会中, 那些士大夫自觉他门自身的主体意识和使命感了. 他们希望继承孟子以後断绝的道统, 回复先秦时期知识人的传统. 他们视古代圣人为自己的理想人格载体. 为了成为圣人, 他们要求人格的自我修养和内省. 宋代理学从天人合一的视角追求天理和性理的统一. 这比以前的世界观更有内省化的面貌. 尤其是宋代的心学和禅学内省化倾向表现得更为明显. 宋代‘以意为主’的诗学主张反映的就是这种内省化的文化倾向. 宋代以前, 汉代诗学家提出了诗言志说, 六朝以及唐代提出了吟咏情性说, 这些诗学主张所强调的在于歌咏一种诗人对社会的指向和诗人对外部刺激的反应. 宋代以後, 诗人则倾注了人间的内省, 主要描写了人间内省或者人间内省所投射的外物. 而且宋代诗学家主张这样创作态度, 于是提出了以意为主的诗学主张.
영문 초록
목차
Ⅰ. 여는 말
Ⅱ. 송대 문화의 內省化 경향
Ⅲ. 송대 ‘以意爲主’의 시학사상
Ⅳ.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