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安奇燮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28집, 45~5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국문 초록
清代后期, 特别是清代末期的音韵体系可以说是跟现代普通话本身一样了。 所以对普通话的声母体系来说, 声母是继承明代官话的北京音, 再加上舌面音([ʨ]、[ʨ‘]、[ɕ])和卷舌音([tʂ]、[tʂ‘]、[ʂ]、[ʐ])。 但我们在研究清代官话音韵体系上, 从韵书韵图类到对译音等主要资料不能确认此前早些时候卷舌音存在与否, 所以根据它们临时拟出[ʧ]、[ʧ‘]、[ʃ]、[ʒ]。 韵母方面也拿现代普通话的体系来说明的话, [ɚ]音和[ɨ(ɿ、ʅ)]的存在在韵书和韵图裏面找不到根据, 通过体系以外的纪录或者对译音资料才能确认。 所以本文在对译音资料中选择了可以很快确定音韵变化的≪朴通事新释谚解≫的表音。不过, 应该说明的是舌面化、卷舌化、iu→y化等都不是处在完成的阶段。
영문 초록
목차
1. 序論
2. [ɨ]․[ɚ]의 소재 탐색
3. 朝鮮時代의 漢語 對譯音에 반영된 舌面化와 捲舌化의 탐색
4. 結論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