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안기섭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60집, 65~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국문 초록
對古代漢語助詞“也”的功能的新理解 這篇文章的核心結論如下 : 我以爲古代漢語助詞(語氣詞)“也”只有一種附加判斷語氣而强調話者判斷的事實或者對象的功能。 從來大体上描寫如此 : 分开句中和句末的“也”, 在句中表示停頓乃至提示, 在句末帮助或加强各種句子的個別語氣。 可是這個主張竝不合古代語言使用上的實際。 話者和听者不认识這些複雜的功能差異。 仔細觀察從來的描寫來, 對句末“也”的種種區別都只是各種句子的整个句義以及上下文。 換言說, 除掉句末的語氣助詞“也”, 句義也沒有變化。 詞和短語后面的“也”表示突出强調全面的成分就是話者判斷的對象或者內容。 这样, 句中和句末的“也”都只有一種相同的功能, 那就是判斷。 “也”的單一功能在跟別的語氣助詞连用的時候, 更明明白白地表現。 因爲连用的語氣助詞各有各的固有功能。 “也”全面的語法單位的大小不影響“也”的功能, 而且對“也”沒有具備句法上的某鐘制約。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也’의 기능에 관한 종래의 기술과 문제점 및 새로운 해법
Ⅲ. 나오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