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崔南圭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58집, 19~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字收錄於第三版‘0335革’(129頁),但不見於第四版,≪金文編≫第四版在‘黃’字下中脫漏此字。‘’(≪卲王鼎≫)字、‘’(≪鼎≫)字收錄於第三版‘0353(𩛥)’(138頁)中,均不見於第四版。≪金文編≫第四版的食部中應新增‘饋’字,並應收錄此‘’字和‘’,而在‘0258 ’中應作“饋字重見”。‘’(≪大豐簋≫)(≪集成≫4261)字收錄於第三版‘0580 ’(234-239頁)中, 而四版未收。這可能後世欲將其分離爲二字, 但從形態上拆分並非易事因而移動時脫落。≪金文編≫ 第三版‘1171䚃’(492頁)字下收錄了≪克鼎≫‘’字和≪番生簋≫‘’字, 然而≪番生簋≫‘’字≪金文編≫第四版中欲查不及。≪金文編≫第四版中‘1482’(629頁)字和‘1940 𢹎’(‘(778頁)中均應收錄≪克鼎≫和≪番生簋≫中的‘’字和‘’字,並當爲‘字重見’或‘𢹎字重見’。又‘’字臨摹形態有異, 故應慎重考察分析。
영문 초록
목차
Ⅰ. 序論
Ⅱ. 容庚≪金文編≫四版에서 脫漏된 자에 대한 고찰
Ⅲ. 結論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