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崔南圭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51집,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0

국문 초록
≪淸華大學藏战国竹简≫(简稱≪淸華簡≫)爲2008年7月15日入藏淸華大學的一批楚简. ≪淸華簡(壹)≫共收入九个篇目, 其中≪尹誥≫․≪周武王有疾周公所自以代武王之志(金縢)≫出自≪尙書≫, 有傳世本, ≪保訓≫․≪耆夜≫的体裁與≪尙書≫相似, 有可能是佚失多年的≪尙書≫篇目,≪程寤≫․≪皇門≫․≪祭公之顧命≫爲≪逸周書≫中的篇目. ≪楚居≫較爲特殊,詳細地記載了楚國起源、楚王世系以及歷代楚王的定都地. 本文則通過≪淸華簡≫與其他楚竹書及其他古文資料的相互比較硏究,得出以下幾點看法:≪淸華簡≫中「夏」字作「()」, 其他楚竹書中作「」․「」․「」․「」‧「」等, 用爲本義之外又借作「雅」. ≪淸華簡≫的「」()」從艸𠭯聲, 爲徂義, 字或作䢐․𨖆.。 ≪逨盤≫的「」字≪淸華簡≫中作「」, ≪郭店楚簡․老子乙≫作「」, 可讀爲「仇」‧「來」‧「棘」等, ≪尹至≫中讀爲「逨」. ≪淸華簡≫中「‘(𡵂)」字與「美」․「微」․「𢼸」․「」․「媺」․「媄」为同源字, 用作「美」義. 「(倉)」字, 整理本中釋爲「爽」義, 则不如釋为「凔」义更加贴切. ‘隹胾悳’中「隹」與「悳」字, 整理本各釋爲助詞與「極 」義, 而实际上應用作動詞. 整理本將「」字视爲「誓」的誤字, 但实际上應是「誓」的異體字. ‘夏民內于水曰’中「曰」字整理本釋爲‘以’, 據文章內容考察应用作爲助詞, 與「聿」的用法相同.
영문 초록
목차
Ⅰ. ≪淸華大學藏戰國竹簡≫과 ≪尹至≫
Ⅱ. ≪尹至≫와 관련이 있는 문자 연구
Ⅲ. 結論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