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tirement and Career Composition of Middle-aged Office Wom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685~7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사무직 중년 여성들의 퇴직경험과 퇴직이후 진로구성과정을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사무직을 생애주된 일로 하다가 퇴직한지 2~5년이 경과한 50대 중년여성 네 명의 퇴직과 진로구성과정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써 내러티브 탐구방식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과 개별 심층 인터뷰를 통해 관계를 맺으며 현장텍스트를 수집하였고, 자료들을 분석하면서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결과 사무직 여성들은 입직과 경력개발, 퇴직과정에서 사무직 남성에 비해 시대와 가족적 상황이라는 외적변수에 더 좌우되었다. 이들은 남성중심의 조직사회에서 인맥부재와 시간, 체력적 한계를 시달리면서도 일과 가사, 양육 등의 지휘자면서 행위자로 살아왔다. 그러한 다중역할속에서 일⋅가정갈등이 여성의 경력개발에 중요한 걸림돌이 되어 왔다. 퇴직후 새로운 일을 하면서 이들은 삶의 주인자리를 되찾고, 일과 관계 모두에서 주도적이면서 능동적으로 살아가고 있다. 퇴직후 이들의 새 일에서의 주제는 ‘주인자리를 되찾다/ 원(願)을 풀다/ 열린 세상을 향해 달리다/ 광장에서 사람을 만나다’이다.
결론 퇴직을 기점으로 사무직 퇴직 여성들은 일에 실려 있던 무게가 줄어들면서 일⋅관계 통합적 자아발달을 이루게 되고, 자기주도성이 증가하게 된다. 사무직 여성집단 내에서도 퇴직충격은 일과 얼마나 동일시되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실질적 가장여부에 따라 퇴직 후 일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짐을 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tirement experiences of middle-aged women in office work and the career composition process after retirement.
Methods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o best understand the retirement and career composition process of four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who have retired two to five years after working as a lifelong job. Field texts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and research texts were created while analyzing the data.
Results Office women were more influenced by the external variables of the times and family situations than office men in the process of employment, career development, and retirement. In a male-centered organizational society, they have lived as conductors such as work, housework, and parenting, despite the lack of connections, time, and physical limitations. In such multiple roles, work-family conflict has been an important obstacle to women's career development. While doing new jobs after retirement, they regain their masters in life and are leading and active in both work and relationships. After retirement, the theme of their new job is to regain their place of ownership / fulfill their wishes / run to the open world / meet people in the square.
Conclusions Starting from retirement, retired office women achieve work-related integrated self-development as the weight of their work decreases, and their self-directedness increases. Even within office women, the impact of retirement varies depending on how much they are identified with work, and the attitude toward post-retirement work varies depending on the actual imperson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사무직 중년 여성의 퇴직과 진로구성이야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