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others' Experiences of Sending Their Children to English Kindergart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숙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593~60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영어유치원을 선택한 3인의 어머니들과의 면담과 현상학적인 연구방법론을 토대로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시대의 문화 현상을 조명해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면접 시점에서 자녀를 영어유치원에 보내고 있는 3명의 어머니이다.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는 개방형 및 반 구조적 인터뷰기법을 사용하였다. 현상학적 연구에 섭외된 어머니들은 편의 표집에 의해 섭외되었고 연구윤리에 따라 연구절차 및 내용을 사전에 설명하고 동의를 얻었다. 인터뷰 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였다. 반 구조화 인터뷰 문항은 영어유치원에 보내게 된 동기 및 조기 영어학습에 대한 어머니들의 신념과 자녀들의 영어유치원 경험에 대한 어머님들의 인식에 대한 문항으로 진행되었다. 면접시간은 평균 90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 어머니들의 편의를 고려하여 전화인터뷰 진행방식을 채택하였다.
결과 영어유치원에 보내는 어머니들의 동기로는 자녀가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영어습득을 하기를 원하는 마음과 엄마가 가르쳐 줄 수 없는 영역인 영어, 미래에 대한 투자로서의 조기 영어학습 및 미국 영어 교과서 기반 커리큘럼에 대한 긍정적인 어머니들의 믿음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들은 자녀의 조기 영어학습에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모국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또한, 지니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자신의 과거 영어학습 경험으로 얻어진 신념에 의해 조기 영어학습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조기 영어학습을 수능을 위한 첫 단계로 인지하였다. 어머니들은 자녀의 영어 구사 능력 평가를 통해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미취학 아동인 자녀가 치뤄야하는 많은 시험들을 당연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 부모의 신념에 따라 자녀의 영어교육 시기 및 교육방식이 결정되며 어머니의 신념은 자녀의 교수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녀가 영어학습을 힘들어하지 않는지 자녀가 어떠한 생각을 지니고 있는지 부모의 입장이 아닌 자녀의 입장에서 생각해봐야 하며 자녀와의 많은 대화로 자녀의 심리적 상태를 주기적으로 체크 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phenomenon of early English educ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three mothers who chose English kindergarten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i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three mothers who are sending their children to an English kindergarten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As a data collection method, open-ende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techniques were use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In addi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questions about the motivation for sending to English kindergarten, mothers' beliefs about early English learning, and mothers'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English kindergarten experience. Interviews took an average of 90 minutes, and telephone interviews were adopted, considering the mother's convenience.
Results The motives of mo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English kindergartens are as follows. Children's desire to learn English in nature, English as an area that mothers cannot teach, early English learning as an investment in the futur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American English textbooks. In addition, mother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s early English learning but also ha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ir mother tongue. Mothers positively recognized early English learning based on their beliefs gained from past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and recognized early English learning as the first step for the CSAT. Mothers felt satisfi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ir children's English proficiency.
Conclusions A parent's beliefs determine when and how a child learns English, and a mother's beliefs greatly influence a child's English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from the child's point of view, not the parent's, whether the child has difficulties learning English or what kind of thoughts the child ha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