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lidating an Entrepreneurship-Based Invention Education Instruction Model as Evaluated by Field Exper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영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487~5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기업가정신, 발명, 지식재산, 창업에 관한 교육의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국내외 기업가정신, 창업, 발명, 지식재산에 관한 문헌고찰과 수업 모형(안)을 개발 및 현장 전문가(16명)에게 총 4차에 걸쳐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차수별 연구 결과를 델파이 검토⋅자문위원(10명), 수업 모형 검토⋅자문위원(10명)들에게 자문 및 수정, 보완 과정을 거쳐 델파이 연구 방법에 의한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에 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 방법에 의해 수행된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발명, 지식재산, 창업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각각의 영역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이것을 바탕으로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안)과 델파이 1라운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현장 전문가(16명)에게 델파이 제2, 3, 4라운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최종 수업 모형의 내용 타당도가 1.00, 합의도 .80 이상, 수렴도 .50 이하이고, 수업 단계의 내용 타당도는 1.00, 합의도 .80 이상, 수렴도 .50 이하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세부 절차에 관한 내용 타당도가 .88 이상, 합의도 .80 이상, 수렴도 .50 이하이고, 구성요소의 내용 타당도는 .88 이상, 합의도 .86 이상, 수렴도 .35 이하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현장 전문가에게 총 4회의 델파이 연구 및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개발한 발명교육 수업 모형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을 실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창의융합인재를 효과적으로 육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nd validating an entrepreneurship-based invention education instruction model and was conducted on field experts teaching entrepreneurship,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and startup incorporation.
Method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startup incorporation,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the researcher developed an entrepreneurship-based invention education instruction model and conducted a survey using the Delphi method a total of four times with field experts (16 people). After reviewing the results of each survey round, Delphi reviewers/advisors (10 people) and teaching model reviewers/advisors (10 people) provided advice on the model, and subsequently revised, made necessary corrections, and validated it.
Results By applying the Delphi method,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entrepreneurship,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and startup incorporation, components of each of the domains were identified. Based on this, the entrepreneurship-based invention education instruction model (draft) and survey instruments for the first round of the Delphi survey were developed. Second, the second, third, and fourth rounds of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on field experts (16 peopl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struction model was 1.00, the degree of consensus was .80 or more, and the degree of convergence was .50 or les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structional stages was 1.00, the degree of consensus was .80 or more, and the degree of convergence was .50 or less. In addition, as for the detailed processes, the Content validity was .88 or more, the degree of consensus was .80 or more, and the degree of convergence was .50 or less, while in the case of components, the Content validity was .88 or more, the degree of consensus was .86 or more, and the degree of convergence was .35 or less. As such, field experts validated the results of the four rounds of the Delphi survey and the content validity thereof, arriving at the final entrepreneurship-based invention education instruction model.
Conclusions The instru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ward nurturing creative talents and fostering a spirit of convergence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hoped the model will enhance entrepreneurial invention education in the on-going pursuit of realizing new values for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