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ubtitle Correction Activities on Learner’s English Reading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325~33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영어 독해 수업에서 학습자 참여 활동으로 자막 수정 활동을 제안하고 이것이 학습자들의 독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대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영상을 활용한 독해 수업에서 자막 편집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막 수정 활동을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취도 평가를 위해 독해 성취도 1차와 2차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자막 수정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와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개방형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독해 성취도 테스트 결과 학습자들은 자막 수정 활동을 통해 독해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자막 수정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는 수업에 대한 흥미와 재미, 직접 참여 독려, 독해 학습 및 조별 활동의 활성화로 분석되었다.
결론 교수자들은 자막 수정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막에 대한 완전한 의존성에서 벗어나 비판적으로 자막을 이해하고 시청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ubtitle correction activities on learners' reading achievement, analyze learners' attitudes and reactions to learner participation activity, and identify areas to consider when using subtitle correction activities in EFL classes.
Methods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subtitle correction activity as a learner participation activity in English reading classes, using movies, and presented a class procedure to which this was applied. This study used the Disney animation, Frozen 2, as a textbook and Movavi Video Suite, a video editing program, to edit the subtitles.
Results This study conducted two reading achievement tests and an open-ended survey for evaluation. The reading achievement tests indicated that the subtitle correction activities affected learners positively, and the open-ended survey showed that learn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subtitle correction activities that encouraged participation in learning (75.4%). This high level of satisfaction is attributable to how the subtitle correction activities aroused interest and fun in the class, encouraged direct participation, and helped boost reading comprehension learning and group activities.
Conclusions Instructors need to encourage learners to approach the use of movies in reading classes critically, without passively accepting the meaning of subtitle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