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e of Metaverse: Focusing on Gangwon-do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309~32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강원도와 같은 지역교육기관에 정책적 시사를 주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메타버스, 에듀테크 등에 관심과 역량이 있는 교원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 가이드라인을 바탕에 두고, 13회차에 해당하는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는 단순 유의성 분석(simple valence analysis)을 활용하여 사전 범주 내에 새롭게 생성된 개념과 범주를 코딩하였다.
결과 수집된 자료로부터 드러난 개념들은 메타버스 기본 인식, 교육적 활용 가능 범주, 교육적 활용을 위한 기반 조성 등 사전 범주를 참조하여 비교⋅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20개의 생성 범주로 유형화하였다.
결론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메타버스는 그 개념 및 유형이 불명확하여 교육 목적에 따라 제한적으로 규정되는 새로운 교육 방법의 추가 정도로 인식해야 한다. 둘째, 메타버스 교육 활용을 위해 기반 인프라가 조성 및 교사 역량 강화 노력이 요청된다. 셋째, 지역 내⋅외에 기반 여건을 마련하고 있는 대학 및 교육 기관들과의 협력 및 연계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ive policy implications to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b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tilization of the Metaverse.
Methods To this end,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over 13 sessions with teachers and experts who were interested in and competent in Metaverse and Edutech, based on the interview guidelines. Data were coded for newly created concepts and categories within the initial categories using simple valence analysis.
Results The concepts revealed from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into 20 generational categories through a process of comparison and analysis by referring to the initial categories such as metaverse basic recognition, categories available for educational use, and improving foundation for educational use.
Conclu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type of the current Metaverse are unclear, so it should be recognized as the degree of addition of a new educational method that is limitedly regulated according to educational purposes. Second, in order to use Metaverse educationally, infrastructure needs to be created, and efforts to strengthen teachers' capabilities are requested.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rategies for cooperation and linkage with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have met the basic conditions inside and outside in G reg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