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of Nuclear Power in Major Countries: Focusing on Science and Social Stud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희 신동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183~19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 정책에 따른 대표 국가를 선정하고 원자력 발전 현황, 역사와 정책, 과학과 및 사회과 교육 과정, 교과서를 비교 분석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원자력 정책을 기준으로 원전 확대 및 유지 국가로 미국, 일본, 원전 축소 및 폐쇄 국가를 독일, 프랑스, 한국을 선정했다. 원자력 발전소가 없는 호주를 추가 비교했다. 주요 국가별 원자력 발전소 수와 발전량, 역사 및 정책 자료를 통해 원자력 발전 현황을 파악했다. 그리고 선정된 국가에서 발간한 과학 및 사회과 교육 과정, 교과서 자료를 수집한 뒤 원자력 발전 내용을 추출해 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했다.
결과 국가별 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원자력 발전은 사회보다 과학과에서 특히, 고등학교 물리화학 영역에서 많이 제시하고 있다. 국내 교과서에서는 2009개정 교과서에서, 국외 교과서에서는 미국이 가장 많이 원자력 발전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 교과서의 원자력 발전 내용에서는 원자력 발전에 대한 장단점 및 쟁점 상황이 많이 제시되었다. 국외 교과서의 경우, 과학 교과서에서 원자력 발전에 대한 장단점 및 쟁점 상황이, 사회 교과서에서는 원자력 발전 사고가 많이 제시되었다.
결론 학생들이 원자력 발전 쟁점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초등학교부터 원자력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status, history and policy, science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textbooks of nuclear power in major countries.
Methods In accordance with global nuclear policie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ere selected as countries to expand and maintain nuclear power plants. In the case of a country abolishing it, Korea, Germany, France were chosen. Australi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doesn't have it. We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nuclear power through the number of nuclear power plants, generation, historical and policy data in major countries. And this study investigated nuclear power generation after collecting data from science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published by selected countries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Results In terms of the curriculum, science subject was more than social studies subject, especially in high school physics and chemistry.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US textbooks showed high in frequency. In domestic textbooks and foreign science textbooks, contents were many “pros and cons, and controversial situations of nuclear power generation”. In foreign social studies textbooks, contents were many “nuclear accident”.
Conclusions In order to students to properly understand the issue of nuclear power generation, nuclear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planned systematically from elementary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주요국 원자력 발전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