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nlin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on Utilizing Video and Virtual Simulation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서 오윤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157~16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임상실습 기반의 동영상을 활용한 실습교육과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일 지역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동영상 활용 실습군 31명,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군 34명 총 65명이었다. 동영상 활용 실습군에는 임상 상황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동영상 활용 온라인 실습 교육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군에는 온라인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학습을 제공하였다. 실습교육의 효과는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및 만족도를 확인하여 비교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온라인 기반 임상실습 후 동영상 활용 실습군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유의하게 낮아졌고, 가상시뮬레이션 실습군은 높아졌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임상실습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동영상 실습군에서 높아지고,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군에서는 낮아졌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온라인 임상실습 후에 임상수행능력과 임상 실습만족도의 두 군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동영상은 실습교육은 기존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과 비교하여 비용효과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인 교육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nlin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linical practice stress, self-efficacy, clinic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June to August, 2021 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 paired t-test used for difference among variables. Data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interventions.
Results Clinical practice stress evaluated lower in the video group compared to the simulation group(t=1.53, p=.043). Self-confidence was higher in the video group compared to the simulation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t=0.98, p=.35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or clinical practice self-efficacy,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Conclusions Nursing student education for clinical Environment utilizing a video in the on-line practice was more cost effective. Therefore, it could be a useful educational method for students in learning clinical practices for related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