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verseas Research Trends Related to Peer Supervi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영주 강혜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19~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동료 슈퍼비전 관련 국외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동료 슈퍼비전 연구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의 동료 슈퍼비전 연구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학술 DB 검색엔진에서 ‘동료 슈퍼비전(peer supervision)’과 관련한 용어를 교차 검색하고, 이를 3차에 걸쳐 검토한 결과, 최종 160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도별, 연구 방법별(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문헌 연구), 운영별(인원, 시간), 연구 장면별(교육, 보건의료, 사회복지) 등 네 가지 측면에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연도별로 살펴볼 때 1962년부터 2021년까지 일부 특정 연도를 제외하고 매년 1회 이상의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주기로 보면 2010년대의 연구 비율이 가장 높았다(32.5%). 둘째,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41.9%)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문헌 연구(28.1%), 양적 연구(18.7%), 혼합 연구(11.3%)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영별 연구 현황에서는 3~9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37.4%), 슈퍼비전 시간은 50분 초과~90분 이하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53.0%). 넷째, 연구 장면에서는 특정 분야를 구분하기 어려운 ‘기타’를 제외하고는 교육분야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38.1%),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연구도 확인되었다.
결론 동료 슈퍼비전 관련 국외 연구는 1960년대 초반부터 2021년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는 않다. 질적 연구의 비중이 양적 연구보다 높았으며, 연구 대상자는 주로 10명 이하의 소수로 구성되었다. 연구 장면에서는 초, 중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 현장이 중심을 이루었고, 보건의료, 사회복지 등 다양한 장면에서도 연구가 진행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peer supervision research by looking at overseas research trends related to peer supervision, and to seek implications for the vitalization of peer supervision research in Korea.
Methods As a result of cross-searching for terms related to ‘peer supervision’ in academic databases and reviewing them three times, the final 160 articles were selected for study analysis.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in four aspects: by year,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qualitative, mixed, literature), by operation (number of people, time), and research scene (education, health care, social welfare).
Results First, when looking at each year, it was found that more than one study was conducted every year, except for some specific years from 1962 to 2021. When looking at the 10-year cycle, the rate of research in the 2010s was the highest (32.5%). Second, by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the most (41.9%),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28.1%), quantitative research (18.7%), and mixed research (11.3%). Third, by operation, studies targeting 3 to 9 people were the most common (37.4%), and studies that lasted more than 50 minutes to less than 90 minutes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 (53.0%). Fourth, in the research scene, studies in the education field were found to be the most(38.1%), except for ‘Other’, wher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a specific field, and research in the health care and social welfare fields was also confirmed.
Conclusions Overseas research on peer supervision is not being actively conducted even though it has been going steadily from the early 1960s to the present of 2021.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was higher than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mainly of a small number of 10 or less. In the research scene, the educational fiel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universities was centered, and research was also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 medical, and social welfa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