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a collage art program ofself-portrait production on self-esteem of artist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양희원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第36券 4號, 266~292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콜라주 자화상 미술 프로그램이 미술 영재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 교육대학교 미술 영재원 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신승희(2019), 전은정(2021)의 콜라주 자화상 미술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차시별 수업 목표와 교수·학습지도안을 재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진행 전·후 연구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을 평가하고, SPSS 28.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콜라주 자화상 미술 프로그램은 미술 영재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콜라주 자화상 미술 프로그램이 미술 영재 중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a self-portrait collage art program on self-esteem of artist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of the study consist of ten students attending a gifted art education institute of S university of education.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self-portrait collage art program of Shin Seung-hee (2019) and Jeon Eun-jeong (2021), each unit and academic plan was reorganized to conduct the research. Based on Rosenberg’s self-esteem scale of 1965,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was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hrough SPSS 28.0.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self-portrait collage art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esteem of the artistically gifted students, thus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도구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