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廈門音新字典》 중 音義關係不一致用例를 爲主로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염재웅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76집, 63~8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국문 초록
本論文主要討論古代漢語變調構詞的音義關係在閩南語詞典≪廈新典≫的文白異讀當中的傳承類情況與類型。本研究尤其關注古代漢語的變調構詞與≪廈新典≫文白異讀的音義關係不一致的五個例子,並把此五例分成三類。“取(娶)”字、“孫(遜)”字爲變調構詞的“原始詞”與≪廈新典≫文白異讀不一致的類型。“厭”字爲變調構詞的“滋生詞”與≪廈新典≫文白異讀不一致的類型。“守(狩)”字、“庭(廷)”字爲變調構詞的“原始詞”和“滋生詞”與≪廈新典≫文白異讀不一致的類型。≪廈新典≫中的“取(娶)”字、“孫(遜)”字、“厭”字、“守(狩)”字、“庭(廷)”字的文白異讀表示與變調構詞有比較緊密的音義對應關係,但是我們能發現與原始詞或者與滋生詞的音義關係略有出入。從變調構詞的角度把≪廈新典≫中文白異讀的音義關係的差異做比較,發現≪廈新典≫中文讀音音義關係釋義有出入的共有12例,白話音音義關係有出入的有1例。另外,和變調構詞相比之下,≪廈新典≫中的義項有錯誤的次數有11次,≪臺多音≫中的義項有錯誤的次數僅有2次。此統計數字反映了與上古漢語有密切關係的白話音層次與中古漢語時期以來屢次持續傳入閩方言層次的差異。我們認為這些錯誤與英國牧師甘爲霖編著≪廈新典≫的目的應該有密切關係。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變調構詞의 原始詞와 ≪廈新典≫ 文白異讀의 音義關係불일치 유형
Ⅲ. 變調構詞의 滋生詞와 ≪廈新典≫ 文白異讀의 音義關係불일치 유형
Ⅳ. 變調構詞의 原始詞・滋生詞와 ≪廈新典≫ 文白異讀의 音義關係불일치 유형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