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f LiaoXi(遼霫) and DengLai(登萊) of Shandong through Chung Mong-ju’s Diplomatic Poems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최낙민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2輯, 237~2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국문 초록
본고는 명 건국 이후 산동사행로 개통을 위한 고려의 외교적 노력과 함께 정몽주가 1386년 사행에서 남긴 시를 통해 산동 遼霫 지역의 군용과 登州와 萊州 지역의 경물을 살펴보았다. 정몽주는 요습 땅을 오가며 명나라가 전략 요충지에 설치한 衛所와 驛站 등을 시로 기록하고, 遼河를 가득 메운 漕運船을 시에 담았고, 旅順口에서는 군사와 군수물자를 나르는 수많은 병선을 목격하고 시로 남겼다. 발해를 건너 등주와 래주를 경유한 정몽주는 사마천의 史記 등 역사서와 선인들의 문집에 기록된 진시황과 관련한 蓬萊閣과 之罘山, 田橫의 고사와 관련한 田橫島와 鳴呼島, 海神廟 등에 대한 시뿐만 아니라 현지 뱃사람들의 媽祖信仰을 기록했다. 본고는 산동의 경물과 함께 요동 정벌을 위해 군용을 갖추어 가던 당시 상황을 기록하고, 전쟁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의 삶을 기록한 정몽주의 시가 갖는 ‘詩史’적 가치를 밝히고자 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along with Goryeo’s diplomatic efforts to open the Shandong diplomatic route after the founding of the Ming Dynasty, examined the military power, equipment, 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Shandong region through a poem created by Chung Mong-ju in 1368. Chung Mong-Ju went back and forth from the Shandong LiaoXi area, recording the military defense base and the post station installed by the Ming Dynasty at strategic points, and described a grain carrier that filled Liao rivers. Also he recording many warships carrying soldiers and military supplies in the Lushunkou. Chung Mong-Ju after crossed Bohai and passed through Shandong Dengzhou-Laizhou went to Nanjing. And in DengLai he recorded Penglaige and Zhifushan related to Qin Shi Huang, also described Tianheng Island and Minghu Island related to Tianheng, who king of Ji. All of these contents wer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of Deunglai, which he learned through the history books of Sima Qian. And Chung Mong-ju also left a poem about Mazu, who goddess of the sea, and sea god Shrine which local sailors believe. This paper tried to record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military operations were prepare to conquer Liaoning Area along wit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of Shandong Province, and to reveal the value of Chung Mong-Ju’s epic poetry, which recorded the lives of the people suffering from war.
목차
1. 들어가는 말
2. 山東使行路 개통을 위한 고려의 외교적 노력
3. 山東 遼霫의 ‘軍容’과 登萊의 ‘景物’
4.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