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申鉉錫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75집, 385~40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0

국문 초록
‘境界’說是王國維≪人間詞話≫中詞學批評之核心理論. 境界的涵意, 在作品中作鮮明眞切之表現, 使讀者也可得到同樣鮮明眞切之感受者. 他的境界得名、取義于佛學, 又是對歷代詩詞理論中意境說之繼承發展, 同時, 就是得助于叔本華美學審美解脫功能及理念說而樹立的. 他所說的是造境與寫境, 理想派創造造境, 寫實派創造寫境, 但二者難分別. 因爲造境畢竟生在實際的物象基礎之上, 故合乎自然; 寫境也需要想像力, 故隣于理想. 他又主張有我之境與無我之境, 這二者的涵義在于人間詞乙稿序, ‘出于觀我者, 意餘于境, 而出于觀物者, 境多于意.’ 但這兩種境界常相互錯綜, 不能有所偏重. 他將‘眞景物眞感情’之‘眞’作爲有境界的標志, 這‘眞’並非社會現實的眞實, 而是作者眞性情的眞率的自然的流露. 他又以‘不隔’爲表達方式之核心, ‘不隔’就是無論抒情寫景, 明快自然, 易讀易懂. 王國維的境界說强調詞之純粹抒情, 脫離倫理道德之公利的觀點, 是在詞學史上給予了新藝術價値.
영문 초록
목차
Ⅰ. 緖言
Ⅱ. ‘境界’說의 涵意
Ⅲ. ‘境界’說의 主要觀點
Ⅳ. 結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