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ye Movement Patterns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by Reading Condition in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and Language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박원정 양윤희 정은애 김아영 임동선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1, 39~511쪽, 전체 47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읽기 조건에 따라 일반 아동 집단과 언어발달장애 아동 집단에서 이야기 이해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에서 이야기 이해 수행력과 안구 움직임 패턴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2학년의 아동 21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일반 아동 183명, 언어발달장애 아동 30명). 읽기 조건(듣기+읽기 조건, 읽기 단독 조건)에 따라 전체 아동은 무선 배치되어 읽기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시선추적기를 통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다. 읽기 과제 종료 후 아동의 이야기 이해 수행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집단 간 읽기 조건에 따른 이야기 이해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읽기 조건에 따라 각 집단의 이야기 이해 수행력과 안구 움직임 패턴 간 상관관계 양상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듣기+읽기 조건에서 언어발달장애 아동 집단의 읽기이해 점수는 시선경로길이(scanpath)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들의 더 나은 읽기이해를 위해 성인의 음성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며 능동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유익한 하나의 방안일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comprehens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and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LI) in early school age according to reading condition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eye movement patterns in each group. Methods: A total of 213 children (TD: 183; LI: 30)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ading conditions (reading while listening, reading only), all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perform text reading tasks, and real-tim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hrough an attached eye-tracker.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y understanding according to reading conditions between group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 patterns between each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and eye movement patter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reading conditions. Conclusion: In the TD group this study found that the faster the processing speed, the higher the reading processing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in the LI group, the processing speed was generally slow due to their poor literacy or cognitive processing speed, therefor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eye movement patterns an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