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lanning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for Improving Inference Comprehension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서지영 박영민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9권 제2호, 165~1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추론적 이해는 읽기이해 과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위해 추론이라는 사고 기제를 효과적으로 반영한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학습활동을 적절하게 구현할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 구안을 위해 추론적 이해의 개념과 유형, 학습 자료로활용할 수 있는 신문 기사의 양식적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 전문, 본문 등의 양식적 요소와 추론의 유형을 결합하여 추론적 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과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결론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서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 등은 추론을 위한단서로 활용하기에 충분하다.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를 활용한 학습활동은 추론의 방향, 추론의 범위,추론의 방법 등에 따라 유형화하여 구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추론과 후방 추론, 중심 내용 추론과뒷받침 내용 추론, 배경지식이나 기사 내용 활용 추론 등을 유형화의 범주로 삼을 수 있다. 신문 기사는표제와 부제와 같은 독특한 양식적 요소 외에도 삶과 밀접한 읽기 자료로서 읽기에의 접근성, 흥미와동기 유발 등의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다. 따라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활동을 구안하고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Inferential comprehension plays a central role in the process of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improve this inference abil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thateffectively reflects the thinking base of inference, and to implement learning activities appropriately. Methods: In order to plan learning activities for improving inference comprehension ability, we graspedthe concept and types of inference comprehension, an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articlesthat can be used as learning materials. Results: Combining stylistic elements such as headlines and subtitles of newspaper articles, specializations,texts, and types of reasoning,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improving reasoningcomprehension ability were devised. Conclusion: Headlines and subtitles of newspaper articles are sufficient as clues for reasoning as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improving deductive comprehension ability. Learning activities usingthe headlines and subtitles of newspaper articles can be typ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easoning,the scope of reasoning, and the method of reasoning. Specifically, forward reasoning and backwardreasoning, core content reasoning and supporting content reasoning, background knowledge and articlecontent utilization reasoning, and other areas. can be classified as typing categories. Newspaper articles,in addition to their unique stylistic elements such as headlines and subtitles, are highly utilized interms of access to reading, interest and motivation as reading materials closely related to daily life. Therefore, it can be an efficient way to improve the reasoning comprehension ability by activelyutilizing this to plan learning activities and to construct teaching plans.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추론적 이해 학습활동 구안 및 지도 방안
Ⅳ. 정리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