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Acculturative Stress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 U.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라영안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6호, 739~75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유학생들이 겪는 문화적응스트레스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이 타국에서 받는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해 탐색해 보고 그러한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미국 대학에서 공부하는 한국인 학부 유학생 6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겪는 문화적응스트레스 경험에 대해 인터뷰하였다. 연구참여자들로부터 얻어진 인터뷰 내용은 전사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CQR)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미국 내 한국인 유학생의 겪는 문화적응스트레스 경험은 문화적응스트레스 요인과 극복방안으로 나누어졌고 스트레스의 종류는 언어, 학업, 대인관계, 문화충격 네 가지 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들이 이러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데 사용하는 방안으로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직적지지가 언급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국 내 거주하는 한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대학 차원에서 그리고 상담자가 도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cculturation stress experienced by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see what efforts they are making to resolve such acculturative stress. Methods For this aim, Six Korean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an American university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 of acculturation stress. We us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o analyzed the data. Results As results, the experience of acculturation stress experienced by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was divided into factors of acculturation stress and its coping strategies. In additio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tangible support were mentioned as methods they use to overcome this acculturation stres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were made on how colleges and counselors can help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living in the United States to reduce their acculturation str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