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using IPA: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nam reg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정오 이상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6호, 663~6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 목적은 IPA에 기반해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중요도-실행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경남 지역 중심으로 초등교사 201명을 연구 참여자로 구성 후 IPA 분석용 설문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경남 지역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중요도(기대 수준)와 실행도(현재 수준)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응표본 t 검정 결과 교사 집단에서 유의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중요도-실행도 차이(p<.05)가 나타나 IPA 분석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IPA 분석 결과 IPA 매트릭스 제 2사분면에 위치(집중 개선 요구 영역)하여 연구 참여자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한 지표는, ‘창의적 사고하기, 내용 조직하기, 추론하기, 비판하기, 글 구성하기, 분석⋅종합하기, 자기화하기, 상호교섭하기, 성찰⋅공감하기, 언어생활 성찰하기, 언어생활 조정하기, 갈등 관리하기, 점검⋅조정하기’이다. 결론 경남 지역 초등 교사 인식을 중심으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중요도-실행도를 분석한 본 연구가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연구 활성화에 밑거름이 되고 역량 중심 국어 교육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based on IPA.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for IPA analysis after recruiting 201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inly in the Gyeongnam area as study participants. Results First, the necessity of IPA analysis was confirmed because the result of the paired t-test revealed that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were significantly (p<.05) different in the teacher group. Second, the results of the IPA analysis showed that “creative thinking, content organization, inference, criticism, composition of writing, analysis/synthesis, self-actualization, mutual negotiation, reflection/sympathy, reflection on language life, adjustment of language life, conflict management and inspection/adjustment” were in the index that was located in the second quadrant of the IPA matrix (requiring intensive improvement), indicating that the study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se indices needed improvement. Conclusions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nam region study,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based on IPA.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lay a foundation for vitalizing education and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and contribute to competency-orien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