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niversity Students’ Use of Music as Academic Stress Coping Strategy during COVID-19 Pandemic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주 정현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6호, 483~49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COVID-19 팬데믹 동안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수준의 변화를 조사하고 스트레스 관리 전략으로 음악을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대전 소재 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양적데이터는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학업스트레스 수준과 음악사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질적 데이터는 내용분석을 통해 음악행동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COVID-19 팬데믹 전후 비교 결과, 성별과 계열별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학생들의 음악사용 수준에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온라인 수업에 따른 어려움과 지루함이 음악사용에 대한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변인이라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음악행동 양상을 분석한 결과, 학업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전략으로 79%의 참여자에게 증가된 음악행동이 나타났으며, 감상⋅가창⋅연주 중에서 감상이 가장 많이 증가된 행동양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이 지닌 동반자적 역할과 정서조율의 기능이 음악감상의 이점으로 가장 많이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COVID-19 팬데믹 기간 중 대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 수준은 보통 수준이며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전략으로 음악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 향후 스트레스 관리전략으로서의 음악사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how music was utilized as a stress coping strategy. Method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which included closed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over a two-week period in May 2022.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hil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in terms of how music was used to cope with their academic stres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cademic stress levels by gender, and majors. However, there was an evident increase in the use of music to cope with academic stress, specifically with challenges and boredom of online classes. From the content analysis, 79%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an increase in musical behaviors, with music listening being the most common. Among the many benefits of music listening, they reported that the companionship of music during social distancing and the emotion regulation function of music were particularly salient. In conclusion, during COVID-19, college students have developed more strategic uses of music to cope with academic stress, which may also be useful for coping with other types of stressors. Conclus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insight into the academic stress levels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potential use of music as a stress coping strateg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