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효정 조동혁 조희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6호, 195~20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국문 초록
목적 첫째, 일-가정 양립 갈등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부정적 양육태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정적 양육태도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셋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부정적 양육태도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기 자녀의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7세 유아를 양육하는 맞벌이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 521부를 구조방정식 모델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은 먼저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후 구조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한 후 잠재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확인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일-가정 양립 갈등은 양육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부정적 양육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스트레스는 부정적 양육태도와 유아 문제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역할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양육태도는 부모역할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유아 문제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역할만족도는 유아 문제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의 일과 삶의 균형을 촉진하고, 나아가 유아의 바람직한 정서⋅행동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가족정책 수립 및 가족지원 복지서비스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mpirically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parenting stres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order to identify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parents that affect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working parents raising children aged 3-7 years, and 521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o test the study hypothesis utili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group analysis technique.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verified, and then, after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model,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latent variables was checked to verify the hypothe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were shown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parenting stress, but no significant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econd, parenting stress was shown to have positive (+) effects o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but no significant effect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ir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shown to have negative (-) effects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positive (+) effects 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Fourth, parental rol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negative (-) effects on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Conclusions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vity to promote parents’ work-life balance, the establishment of family policies to promote children’s desirable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welfare services to support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