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ffective commitment: focusing on office workers in mid-sized enterprises and abov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석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6호, 147~15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국문 초록
목적 사무직 근로자의 정서지능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설문조사를 통해 중견기업 이상에서 종사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으며 SPSS 21.0과 PROCESS Macro v4.0을 사용하여 최종 4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정서지능은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정서적 조직몰입과 정적 관계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정서적 조직몰입에 부적 관계를 보였으며, 정서지능과 정서적 조직몰입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사무직 근로자의 정서지능이 직무스트레스를 저감시키며, 정서적 조직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서지능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정서지능이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를 저감하고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ffective commitment of office workers. Methods Through a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office workers in medium-sized companies and above, and the final 400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v4.0.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job stress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ffective commitment. Job stres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ffective commitment, and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ffective commitment.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office workers is a factor that can reduce job stress and enhance affective commitment. In addition,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ffective commitment, confirming that emotional intelligence not only relieves job stress, but also can be a leading factor in improving affective commitment. Based on this, concrete intervention plans were suggested to reduce job stress and improve affective commit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