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배미록 원성두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6호, 111~12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험회피가 안전행동을 매개로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경기도 소재 대학생 352명을 대상으로 사회 공포증 척도(SPS),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단축형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K-MEAQ-24), 미묘한 회피 빈도 검증 척도(SAFE)를 사용해 관련 변인을 측정하였다. 결과 상관분석 결과, 경험회피, 안전행동 및 사회불안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주요 변인들의 왜도 및 첨도를 살펴보았을 때 분포의 정규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통한 측정모형 검증 시 적합도가 적절하고 모든 측정변인의 요인부하량이 유의하였다. 이후 완전매개 형태의 경쟁모형을 상정하여 연구모형인 부분매개 모형과 비교하였고, 카이제곱 차이검증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설명량이 더 큰 연구모형이 채택되었으며, 즉 미묘한 안전행동이 경험회피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고통스러운 감정과 생각을 기꺼이 받아들이지 않으려 할수록 회피 행동에 의존하게 되며, 사회적 수행 및 상호작용 상황에서 느끼는 불안을 증폭시킨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safety behavior mediates the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social anxiety. Methods 352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both online and offline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ncluding a Social Phobia Scale(SP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K-MEAQ-24), and Subtle Avoidance Frequency Examination(SAFE). Result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avoidance, safety behavior, and social anxiety, and the normality of the distribution was confirmed when examining the skewness and kurtosis of major variables. In addition, when verifying the measurement model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the model-fit was appropriate, and the factor load of all measurement variables was significant. After that, a complete mediation competitive model was assumed and compared with the partial mediation model, a chi-square difference test resul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 larger explanatory research model was adopted, that is, subtle safety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Conclusions Results suggest that unwillingness to experience distressful thoughts and emotions leads to dependence on avoidance behavior. Moreover, the unwillingness might increase anxiety which the individual feels in social performance and interactive situ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