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al Sources of Counselor Self-Efficacy: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Beliefs about Supervisor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허립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0권1호, 203~21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 안에서 발달하는 과정을 설명한 관계적 효능감 신념의 삼분법적 모델을 상담 슈퍼비전 맥락에 적용하여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적 원천을 살펴보았다. 상담자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관계적 효능감 신념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AMOS 21.0 프로그램으로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상담자의 능력에 대한 슈퍼바이저의 평가를 상담자가 어떻게 인식하는지(관계추론 효능감)은 상담자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영향력의 강도는 슈퍼바이저의 능력을 상담자가 어떻게 인식하는지(타인효능감)과 상담자의 상담 경력에 의해 조절되었다. 또한 타인효능감은 관계추론 효능감 및 슈퍼비전 관계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적 원천으로 상담자의 관계추론 효능감과 타인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A tripartite model of relational efficacy beliefs which explains how self-efficacy developswithin close relationships was applied to the context of counseling supervision to confirmrelational sources of counselor self-efficacy. Survey data about relational efficacy beliefs werecollected from 153 counselors and analyzed using AMOS 21.0.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that counselor self-efficacy is well predicted by counselors' beliefs about how their supervisorsperceive counselors' ability(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RISE), and counselors' beliefs aboutthe supervisors' ability(other-efficacy) and counselors' length of counseling experience moderatethe strength of this relationship. Furthermore, other-efficacy predicts RISE and supervisoryrelationships. It is suggested that RISE and other-efficacy play important roles as relationalsources of counselor self-efficacy in a supervisory relationshi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