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Meaning and Types of Tinkering in Elementary Mak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1호, 49~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 메이커 교육의 맥락에서 팅커링의 의미를 탐색하고, 초등 메이커 교육에 적용 가능한 팅커링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팅커링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팅커링의 의미를 탐색하고 팅커링의 유형을 분류하여 도출하였다. 또한, 초등 메이커 교육에 적용 가능한 팅커링 유형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메이커 교육에서 팅커링의 의미를 1) 브리콜뢰르로서의 팅커링, 2) 메이커 활동의 한 분야로서 팅커링, 3) 문제 해결과 놀이로서의 팅커링, 4) 학습 과정으로서의 팅커링 등과 같은 네 가지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둘째, 초등 메이커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팅커링 유형을 1) 문제 해결하기, 2) 조작·표현하기, 3) 관찰·탐색하기, 4) 분해·조립하기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각 유형의 팅커링에는 1) 손으로(with hands), 2) 놀이하듯(like playing), 3) 스스로 결정하며 (self-determined), 4) 계속 시도하는(try over and over), 5) 학습 과정 (learning process) 등과 같은 공통 요소가 전제 조건으로서 반영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tinkering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maker education and to identify the types of tinkering applicable to elementary maker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meanings of tinkering were elucidated from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the types of tinkering were classified and derived. In addition, the validity of tinkering types applicable to elementary maker education was verifi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tinkering in elementary maker education was interpreted from the following four perspectives: 1) tinkering as bricoleur, 2) tinkering as a discipline of maker activity, 3) tinkering as problem-solving and play, and 4) tinkering as a learning process. Second, the types of tinkering that could be applied in elementary maker education were presented as the following four types: 1) problem-solving, 2) manipulation/expression, 3) observation/exploration, and 4) disassembly/assembly.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common elements should be reflected as prerequisites for each type of tinkering: 1) with hands, 2) similar to playing, 3) self-determined, 4) try again, and 5) learning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