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Education Space for the Realization of Creative Space: Focusing on the classroom space of the Daegu Elementary Future Education Renovation Project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박선명(Park, Sun Myung) 허정욱(Heo, Jeong Uk) 김종하(Kim, Jong Ha)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1(통권 26권), 510~521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국문 초록
변화하는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육환경의 변화가 중요한 이슈로 자리잡고 있는 시점에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공간혁신사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교육시설 개선사업은 공급자와 전문가가 주도하는 시설 개선이 아닌, ‘사용자 참여 중심의 공간조성’이 사업의 핵심이다. 본 연구는 학교 공간 혁신사업의 일환인 대구 초등미래교육 리노베이션 사업의 2018년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 방법은 첫째, 창의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파악하고, 창의공간을 구성하는 특성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사례분석을 통한 변화된 공간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고, 셋째, 창의적 교육공간의 대표특성을 추출하여 창의공간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 특성 분석을 통해 창의적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의 교육공간은 PV, PO, PF, VF, VCo 5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했으며, 개선 대상이 된 초등학교 저학년 교실공간을 살펴본 결과 다양한 경험이 가능한 놀이적 활동이 주요 요구사항이었고, 이를 바탕으로 한 공간디자인이 특성이 반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At a time when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preparation for a changing future society are becoming an important issue, spatial innovation projects are spreading nationwide for educational facilities. In particular, the core of the project is not to improve facilities led by suppliers and experts, but to create a space centered on user particip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2018 project of the Daegu Elementary Future Education Renovation Project, which is part of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First, the research method identifies the importa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o enhance creative capabilities and extracts the characteristic elements thatmake up the creative space. Second, the changed spatial design elements were identified through case analysis, and thir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space were identified to support creative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creative educational space. Furthermore, the educational space of this study could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PV, PO, PF, VF, and VCo. Playful activitieswith various experienceswere themain requirements and the design characteristicswere reflected.
목차
1. 서론
2. 이론고찰 및 연구대상 선정
3. 분석대상의 공간요소
4. 창의공간 특성에 따른 교실환경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