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eraction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Children's Museum: Focusing on AR applications of children's museum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천융루(YONGRU CHEN) 이지혜(Ji-hy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1(통권 26권), 390~401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국문 초록
증강현실(AR)은 교육과 엔터테인먼트에서 널리 사용되며 최근 박물관에서 다양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상호작용성 모델을 탐색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상호작용성 모델을 탐구하여 사용자가 어린이박물관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더 지속적으로 체험할 수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증강현실의 개념 및 상호작용성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틀을 제안한다. 이를 바탕으로 증강현실 기반 교육 콘텐츠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여 관련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의 결과로 향후 연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성 평가 요소를 제안하고, 유사한 주제나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다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사용자 행동을 유도하여 긍정적인 피드백 생성을 자극하는 것과 다차적 방향성 및 순환성을 결합한 모델을 강조할 것이다. 이를 통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제작된 증강현실 박물관 교육 콘텐츠 디자인 구성요소를 제안하는 기초연구로서 관련 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ugmented reality (AR) is widely used in education and entertainmen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useum development. This study explores an interaction model for the continuous use of children's museum applications. Specifically, it aims to explore interaction models based o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so that users can experience the contents of children's museum applications more continuously. As a research method, theoretical thinking is performed on the concept of augmented reality and a theoretical framework is propos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interaction. Based on this, related cases were analyzed by deriving elements necessary for augmented reality-based educational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study presents a view that different user experiences can be provided even with topics or techniques similar to the interaction evaluation elements available in future studies. Finally, this study will highlight a model that combines multi-dimensional directionality and circularity with stimulating positive feedback generation by inducing user behavior. It is a basic study that proposes components for designing educational contents for augmented reality museums produced for children.
목차
1. 서론
2. 증강현실과 어린이 박물관 콘텐츠
3. 프레임워크 도출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