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Genetic Decomposition of Congruent Transformation in Dynamic Geometry Environments Using GSP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양은경(Yang, Eun Kyung) 신재홍(Shin, Jaeho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5권 4호, 499~52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GSP 환경에서 합동변환 개념에 대한 발생적 분해를 제시하고, 중학교 2학년 영재학급 학생 4명을 대상으로 참여 학생들의 합동변환 개념에 대한 발생적 분해가 어떻게 드러나고 변화하는지, 또한 드래그 활동이 합동변환 개념의 이해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합동변환 개념을 이해할 때, 학생들은 중요한 두 스키마인 ‘한 점 이동 스키마’와 ‘변환 이동 스키마’를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한 학생이 어느 한 스키마를 선호하거나 치중하여 사용하기 보다는 두 스키마를 모두 고려하되 방향을 정하기 어려운 과제일수록 ‘한 점 이동 스키마’에 더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Law(1991)의 ‘한 점 이동 스키마’의 집약화에 따른 ‘도형 이동 스키마’는 학생들에게 관찰되지 않았으며, 합동변환의 합성을 완벽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조정뿐만 아니라 가역적 사고가 더 필요하였다. 또한, 합동변환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학생의 드래그 활동은 정의역과 치역을 평면 위의 점으로 확장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벡터, 회전의 중심, 대칭축의 역할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영문 초록
In the present study, we propose four participating 8th grade students' genetic decomposition of congruent transformation and investigate the role of their dragging activities whil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ongruent transformation in GSP(Geometer's Sketchpad). The students began to use two major schema, `single-point movement' and `identification of transformation' simultaneously in their transformation activities, but they were inclined to rely on the single-point movement schema when dealing with relatively difficult tasks. Through dragging activities, they could expand the domain and range of transformation to every point on a plane, not confined to relevant geometric figures. Dragging activities also helped the students recognize the role of a vector, a center of rotation, and an axis of symmetr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