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Clas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선(Choi Ji Sun)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7권 2호, 313~32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5.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40명의 현직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교수ㆍ학습 과정 안을 개발하고 적용하며 그 결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 보고서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초등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모델링의 특징으로 ‘비구조화된 상황’과 ‘다양한 문제해결’을 도출할 수 있었으나 수학적 모델링 관점은 다소 차이가 있어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어려움은 크게 과제, 학생의 인지적 활동, 교사의 중재, 모든 학생의 참여, 교실 문화 범주로 구체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class. For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teacher analysed the previous case studies about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class, developed a hypothetical learning trajectory, applied the hypothetical learning trajectory to his/her class, reflected students’ learning and his/her teaching, and made reflective journals. These journals contained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and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experienced in teaching mathematics as mathematical modeling. These journals were analyzed to identify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class.
This study shows that teachers have common features of mathematical modeling but their perspectives are little bit different, are classified into four kinds. And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experienced in teaching mathematics as mathematical modeling are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Task, Students’ cognitive demand, Teacher’ monitering, All students’ participation, and Classroom culture. At last, suggestions for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class are don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