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교사교육 연구와 실천과제: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으로 분석한 고등학교 수열 단원 수업과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소고
이용수 52
- 영문명
- Connecting Research and Practice: Teaching for Robust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Framework in a Korean Mathematics Classroom Context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정(Hee-jeong Kim)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7권 4호, 639~6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수학 교실 수업 관찰 프레임인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을 한국어로 소개하고, 이 프레임을 이용하여 한국의 고등학교 수업을 분석한 결과를 논의한다. 교사의 교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를 평가를 하였던 기존의 많은 수업 관찰 프레임에서 보여졌던 것과는 달리,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은 교실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어떤 질 좋은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그 기회에 학생들이 참여하게 하는 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본 고에서는 단순히 이 프레임을 번역하여 소개하는 것이 아닌, 연구 수업 및 교사 공동체가 학교와 교사의 문화로 자리매김한 한국 상황에 맞게 적용하여 한국 고등학교 수업을 케이스 스터디로 분석한 것으로, 한국의 학교 문화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고의 말미에서는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 의 다른 버전인 교사 전문성 신장 가이드를 이용하여 교사들과 교사 연수자들이 수학 교실 수업 개선을 목표로 하는 교사 전문성 신장에 관한 실천적 측면의 함의점을 논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views several classroom observational frameworks and introduces one of them, Teaching for Robust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TRU Math) framework, in more detail. The TRU Math framework has unique features, especially of which it help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nalyze lessons with a focus on opportunities to learn and on how students access to the learning opportun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s rather than focusing on teacher behaviors. In this article, using this TRU Math framework, a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lesson was analyzed. The analysis illustrates the aspects of good mathematics teaching according to the five dimensions that we theorized. It provides implications on how to better use the tool for both research and practice in Korean school culture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contex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