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 시간, 학생들의 반응,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수학 교과서 time, elapsed time, student responses, 2015 revision mathematics curriculum, mathematics textbooks
이용수 81
- 영문명
- Manipulating with Base-ten Blocks and Understanding of Their Visual Representations on Addition with Carrying and Subtraction with Borrowing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임미인(Miin Lim) 장혜원(Hyewon Cha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9권 4호, 761~7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국문 초록
수 모형은 수와 연산 영역 지도 시 널리 활용되는 교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 학습 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수 모형을 조작하는지, 수 모형에 관한 교과서의 시각적 표현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학년과 3학년 학생 각 4명씩 총 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검사 문항은 2학년과 3학년 1학기에 학습한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받아올림이 있는 덧셈, 받아내림이 있는 뺄셈 관련 두 문항씩이다.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되었다. 첫째, 각 학생에게 교과서 장면 없이 덧셈, 뺄셈을 수 모형 조작 활동을 통해 계산해 보도록 하였다. 둘째, 교과서의 관련 수 모형 그림을 보여주고 그림이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지,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지 설명해 보도록 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시각적 표현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 덧셈과 뺄셈을 위한 수 모형 조작 시 보이는 몇 가지 특징이 파악되었고, 연구 대상 중 다수의 학생이 교과서에 제시된 수 모형 그림의 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Base-ten blocks are widely used in teaching number and operation domain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tudents perform with base-ten blocks related to addition with carrying and subtraction with borrowing and students’ understanding the visual representations in textbooks about base-ten block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eight students were selected, four for each of the 2nd and 3rd graders. The test questions are two items related to addition with carrying and subtraction with borrowing, presented in mathematics textbooks.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 First, each student was provided with sufficient base-ten blocks and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out the textbook was calculated using base-ten blocks. Secon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presented in the textbook was confirmed by showing the relevant base-ten blocks of the textbook and explaining what the drawing represents and what they are do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m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manipulation of base-ten blocks for addition and subtraction were identified, and some students show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base-ten blocks presented in the textbook.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were draw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