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ime and Elapsed Time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권미선(Misun Kwon)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29권 4호, 741~76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국문 초록
시각과 시간은 일상생활에서 많이 활용되며 학생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시각과 시간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중점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하지만 시간은 다른 측정 속성과 달리 계속 흘러가고 있으며, 시각과 시간을 표현할 때 12진법과 60진법 등 학생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수 체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저학년 학생들은 시각과 시간의 학습을 어려워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시각과 시간에 대한 학습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초등학교 2학년 학생 108명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시각과 시간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많은 학생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긴바늘과 짧은바늘이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과 시간 띠를 활용하여 걸린 시간을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각과 시간을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ime and elapsed time are concepts that are applicable in everyday life and thus directly affect students' lives. This is because students study the concept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Unlike other aspects of measurement, time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 flow and it uses a number system that is unfamiliar to students such as base-12 and 60 system. With such specificity, lower grade students may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ime and elapsed tim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s of time and elapsed time i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examined 108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se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are struggling to grasp these concepts. To be specific, many students had difficulty recognizing the movement of the minute and the hour hand over time. Moreover, they also had difficulty finding the elapsed time using the time band. This study provides guidance on how to teach time and elapsed time when learning occurs in the classroo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