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ynthesis of Research Trends on Mathematics Writ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고상숙(Sang Sook Choi-Koh)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3권 1호, 123~1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미래사회는 극도로 디지털화된 환경 속에 수학적 사고를 하게 되는데 학생의 두뇌활동을 통해서 습득해야하는 기본역량인 쓰기는 여전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재단의 등재와 등재후보 학술지를 중심으로 26편의 논문을 평가, 중재프로그램 그리고 인식조사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가를 산출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서술형·논술형, 그리고 과정중심형의 유형의 수학 쓰기를 사용하였고 학생들의 수학 쓰기 능력에 대한 평가보다는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력과같은 핵심역량 또는 정의적 영역을 평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둘째, 중재프로그램을 사용한 연구 대부분에서 일지쓰기, 상호적 또는 반성적 글쓰기에 의한 수학 쓰기가 대부분이었고 이 중재를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 또는 정의적 성취도가향상되었음을 밝혔다. 셋째, 인식조사에는 대부분 서술형·논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조사들로서 교사들과 학생들이 수학 쓰기자체에 대해 느끼는 인식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는 수학 쓰기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것을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바탕으로 미래 연구에 대한 방향에 대해 8가지 주제로 제언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In the future, mathematical thinking will occur in an extremely digitalized environment, and mathematics writing (MW), a basic competency that students must acquire through brain activity, will still be important. In this study, 26 papers in Korea were classified into evaluation, intervention program, and survey, focusing on the registered or candidate journals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 Regarding the results, first, most studies that measured the evaluation used descriptive, essay, or process-oriented MW types, and the majority of them evaluated core competences, such as problem-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or affective ability, rather than students’ MW ability itself. Second, the studies using the intervention program revealed that most students’ cognitive or affective domains improved through journal writing. Third, in the surveys, it was difficult to grasp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MW itself, as most of the said surveys pertained to narrative and essay-type assessmen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