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iveness of Cultural Empathy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영 최승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687~70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 대상 문화적 공감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방법 첫째, 문화적 공감 프로그램 관련 문헌조사/분석 및 실제사례연구, 문화적 공감의 준거 및 구성요소에 대한 문헌분석을 하였다. 둘째,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통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문헌고찰 및 요구도 조사를 통한 시안을 구성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에 대한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문화적 공감 프로그램의 목표, 교육내용, 세부내용이 적절한지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2022년 1월 18일부터 2022년 2월 17일까지 매주 1~2회기씩 총 5주 동안 진행되었다. 결과 유아교사에게 필요한 문화적 공감과 다문화 관계성을 고찰하고 문화적 공감의 특성을 면밀히 파악한 다음 단계별 협의와 논의과정을 거쳐 총 9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에 앞서 사전 문화적 공감의 동질성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동질성이 확보 되었다. 실험집단은 문화적 공감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문화적 공감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유아와의 원활한 관계 형성과 적응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ultural empathy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First, a literature review/analysis related to cultural empathy programs and actual study cases was conducted, as well as a literary analysis of the criteria and components of cultural empathy. Second, a demand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in-service teachers. Third, a draft was form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demand survey. Fourth, the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Fifth,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goals, educational content and details of the developed cultural empathy program were appropriate.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January 18, 2022, to February 17, 2022, for a total of 5 weeks, with two sessions on the same day and at the same time every week. Results After examining the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relationship necessar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arefull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empathy, a total of 9 sessions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 step-by-step consultation and discussion process. A pre-post test was conduct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empath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level of cultural empathy was improved, which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ultural empathy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al empathy program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upport measures for facilitating relationship formation and adaptation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