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tents of Time Expression Education in Elementary Grammar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희성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651~66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22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초등 시간 표현 성취기준의 교육 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쟁점 사안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2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초등 시간 표현 교육의 지향을 명료화하기 위하여 2007, 2015 국어과 교육과정과 2022 국어과 교육과정을 비교했다. 또한 교육 내용 개발의 쟁점을 탐색하기 위해 시간 표현의 상위 범주인 문법 요소 성취기준들이 구현된 기존의 교과서들을 분석했으며, 시간 표현 교육에 사용할 수 있을 만한 언어 자료들을 예시하기 위해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도 분석하였다. 결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2022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시간 표현 교육의 지향이 2007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그것과 많이 달라졌음을 확인했다. 특히 2022 국어과 교육과정은 ‘사용으로서의 언어, 언어의 역동성, 언어의 다면성’ 등에 주목하고 ‘담화, 맥락’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시간 표현 교육이 높임 표현 및 피동 표현 교육 사이에서 적합한 위계성을 가지고 구현되는 방식에 대해 교과서 분석을 통해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초등 시간 표현 교육이 문학이나 읽기 및 쓰기 영역과 연계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특히 초등학교 5학년 수준에서 다룰 수 있는 텍스트들에서도 시간 표현이 표현 효과를 담지하고 있음을 예시했다. 결론 2022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초등 시간 표현 교육은 그 지향과 위계 및 연계에 대해 섬세한 고려 속에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초등 시간 표현 교육의 정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시간 표현 사용 양상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ssues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realizing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elementary school time expression achievement standards newly established in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Methods First, in order to clarify the ori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time expression education in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2007 and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compared. In addition, in order to explore the issues of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the upper category of time expression, grammar element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in textbooks that were previously implemented. Finally,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books were also analyzed to illustrate language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time expression education. Results Through curriculum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orientation of time expression education in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2007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ed on “language as use, language dynamics, and various aspects of language” and emphasized “discourse and context.” In addition, I argued that time expressio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with an appropriate hierarchy between height expression and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through textbook analysi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that elementary school time expression education can be linked to literature or reading/writing was confirmed. Specifically, it was exemplified that time expression also contains an expression effect in texts that can be treated at the 5th grade level of elementary school. Conclusions In the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time expression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delicate consideration of its orientation, hierarchy, and connection. In addition, in order for elementary school time expression education to be implemented as intended, research on learners' use of time expression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2022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초등 시간 표현 교육의 지향
Ⅲ. 초등 시간 표현 교육 내용화의 주요 쟁점 탐색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