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in the workplace bullying bystander and pro-bullying between the just world belief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규돈 조한익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637~65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와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직장 내 괴롭힘을 목격한 전국의 20~60세 남녀 직장인 3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방관행동, 친가해행동간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행하였다. 결과 직장 내 괴롭힘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학습된 무기력 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학습된 무기력, 친가해행동과 방관행동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습된 무기력과 공정세상신념, 친가해행동 간에는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학습된 무기력과 공정세상신념, 방관행동 간에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할 경우, 주변인의 공정세상신념과 학습된 무기력이 피해자에 대한 친가해행동을 유발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in relationship among the just world beliefs, workplace bystander and workplace pro-bullying.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08 male and female workers aged 20 to 60 across the country who witnessed workplace bully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and just world beliefs, and bystander behavior and pro-bullying bystanders in workplace harassment, and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through the Sobel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just world beliefs and learned helplessness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just world beliefs, learned helplessness, and pro-bullying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when the just world belief of people around workplace bullying leads to pro-bullying behavior, but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as derived of learned helplessness between the just world beliefs and bystander behavio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rpreted to show that the just world beliefs and learned helplessness a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workplace bystander that trigger pro-bullying behavior in the bystander.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