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College Major Textbooks on Play Instructions Refl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옥희 송나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565~5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중심 교육과정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발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여 2021년 9월까지 출간된 놀이지도 교재 10권을 선정하여, 교재 전체 구성 비율을 분석하고, 교재의 이론편과 실제편을 구분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 개발 방향에 관한 내용으로 먼저, 구성 측면에서는 이론과 실제 비중의 적절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내용 측면에서는 교육과정 개정 목적 및 실행 사례 증대, 놀이 환경 재구성의 내용과 사례 증대, 놀이 관찰 및 평가의 내용 변화, 영아 대상의 실제편 증대, 실제편 구성에 대한 보편적인 합의 선행, 교사들의 놀이 지원 방향성 제시, 누리과정 5개 영역 및 내용 범주의 통합 구성 제시, 다양한 놀이 유형 및 놀이 자료 제시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에 본 연구는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향후 놀이지도 대학전공교재를 개발하는데 여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ality of college major textbooks on play instructions so that the play-oriented curriculum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can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s This paper selected 10 play instruction textbooks published by September 2021, refl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analyzed the content by dividing the total composition ratio of textbooks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ections of textbooks. Results Regarding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college major textbooks on play instructions, the findings raise a need to strike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erms of composition. In terms of content, the study proposed to increas the purpose of curriculum revision and implementation cases, increas the contents and examples of reconstructing the play environment, change the content of play observations and assessments, increase real practices for infants, reach a universal consensus on the composition of real practices in advance, provide directionality for teachers' play supports, integrate the five areas and content categories of the Nuri Curriculum in composition, and provide a variety of play types and material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revised college major textbooks on play instructions and provided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college major textbooks on play instruction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