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구현주 문혁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337~35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통제, 사회적지지, 대인관계 유능성 변인들과의 관계 및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으로 기술통계와 Pearson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통제, 사회적지지, 대인관계 유능성의 각 변인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은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으며,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사회적지지도 유의한 부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적지지와 대인관계 유능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통제는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지지에도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를 낮게 지각함으로 인해 대인관계 유능성을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통하여 부모의 심리적통제로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대인관계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과 교육 프로그램이 계획 및 시행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ocial support, interpersonal competency variables,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o this end, 263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5.0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was verifi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inadequately correlated,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support were also significant inadequacy correlations. Next,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statically correlated. Seco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e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interpersonal competence, social support had a fully mediated effect.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research tha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the lower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which negatively affects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motion of interpersonal competency in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