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on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on Effects of Self-concealment and Entrapm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성 김은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217~2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기은폐와 속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내면화된 수치심(ISS), 자기은폐(SCS), 속박감(Entrapment), 자살생각(SIQ)을 측정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AMOS 22.0과 Mplus7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로, 속박감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둘째로, 자기은폐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자기은폐와 속박감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연속매개하였다. 결론 내면화된 수치심은 개인적인 고통을 은폐하도록 동기화하고, 자기은폐가 높을수록 속박감이 더욱 증가하며 자살생각에 이르게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self-concealment and Entrapment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325 college students who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assess internalized shame, self-concealment, entrapment and suicidal ide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2.0. Results First, entrap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self-concealment has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self-concealment and entrapm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nalized shame can make more self-concealment and entrapment, and in turn it draws to more suicidal ide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