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elf-Efficacy of Vocational Counselor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effec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희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185~19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국문 초록
목적 20대 이상의 직업상담사들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지역의 직업상담사 25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216부 설문지를 최종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긍정심리자본, 회복탄력성, 자기효능감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인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과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낙관주의, 희망 요인 모두 회복탄력성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통제성, 사회성, 긍정성 요인 모두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낙관주의, 희망 요인 모두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회복탄력성은 직업상담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직업상담사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있어서 희망과 낙관주의 성향과 같은 긍정심리자본은 물론이고 상담업무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 등으로부터 회복하는 능력인 회복탄력성 또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self-efficacy among vocational counselors in their 20s or older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Methods To conduct the research, an online an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50 vocational counselor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as a convenience sampling, and 21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esilience, and self-efficacy variables,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Results Both optimism and hope, which ar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Controllability, sociality, and posi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resilience, were a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Both optimism and hope, which ar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efficacy of vocational counselors.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ch as hope and optimism, as well as resilience, which is the ability to recover from job stress that may be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job counseling,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vocational counsel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