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play on playfulness and creative personality for chil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준 임귀자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169~18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전통놀이를 통한 창의인성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놀이성과 창의적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M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두학급 각 20명씩 40명을 대상으로 전통놀이를 통한 창의인성활동을 실시하여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t 검증과 공변량으로 ANC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전통놀이를 통한 창의인성활동을 실시한 집단이 비교집단과 놀이성과 창의적인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전통놀이를 통한 창의인성활동이 유아의 놀이성 발달 중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에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창의적인성에서는 독특성-호기심, 개방성-유머, 민감성-다양한 흥미, 상상력-놀이성, 독립성-몰두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children's playability and creativity through creative personality activities through various traditional games. Methods For this purpose, creative personality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play were conducted for 40 children in two classes of 5 years old, 20 each, at S daycare center located in M city. ANCOVA was performed as a covariate. Results The group that performed creative personality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pla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ability and creativity from the comparison group. Conclusions Creative personality activity through traditional play had a significant overall effect on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dur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ability. In creativit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uniqueness-curiosity, openness-humor, sensitivity-various interests, imagination-playability, and independence-preoccu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