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program in connection with Sternberg's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정임 박경빈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91~10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국문 초록
목적 Sternberg의 성공지능 이론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 창의성,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서울에 위치한 2곳의 유치원에서 만 5세 유아 7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Sternberg 성공지능 이론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의 프로그램을 10주에 걸쳐 적용한 후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 검증 및 다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실헙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아들의 수학적 능력, 창의성,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차이가 있었다. 결론 Sternberg의 성공지능 이론과 연계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는 통제집단 유아에 비해 수학적 능력과 그의 하위영역인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영역이 향상되었다. 또한 창의성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의 하위영역이 향상되었다.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그의 하위요인인 문제의 이해, 아이디어 생성, 행위를 위한 계획 모두 향상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in connection with Sternberg's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on the mathematical ability,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Methods Seventy six 5-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t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investigated by dividing them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verified after applying the program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linked to the Sternberg successful intelligence theory to the experimental group over 10 weeks. Resul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verific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M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athematical ability,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The early childhood ma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is suitable for 5-year-old children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mathematical ability, creativit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mproved their mathematical ability and their sub-areas, algebra, number and computation, geometry, and measur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young children. In addition, creativ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sub-areas of fluency, originality, abstraction of titles, and resistance to early closure were improve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plans for understanding problems, generating ideas, and acting, which are sub-factors have all improv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