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Parenting Style, Attachment, and Understanding Instructions on Academic Self-efficacy of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연은모 최효식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5호, 11~2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애착, 수업이해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의 초등학교 패널 6개년도(4차, 2015년~9차, 2020년) 자료의 3,95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 양상과 양육행동의 감독과 합리적 설명, 부모 애착의 신뢰와 소외, 수업이해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잠재성장모형에 토대를 둔 무조건 모형, 조건모형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분할함수성장모형에 기초할 때, 중, 고등학교 시기 모두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감소하는 패턴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중학교 시기와 고등학교 시기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감소 정도는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시 및 지연효과 검증 결과, 시기별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부모 감독, 합리적 설명, 부모 신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며, 부모 소외는 자기효능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중1~고3 시점에서 수업이해도는 동일 시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는 동시효과, 다음 연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키는 지연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시기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학습 장면에서의 숙달 경험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부모의 양육행동, 애착 특성 또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academic self-efficacy from 7th to 12th graders and analyzed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ing style, attachment, and understanding instructions. Methods Six waves (Grades 7~12; N=3,952) of data from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we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LGM). Resul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elf-efficacy decreased over time for 6 years. Second, while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monitoring, reasonable parenting behavior, and trust from parents increased academic self-efficacy, isolation from parents decreased academic self-efficacy over time. Third, understanding instructions of students had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n academic self-efficacy during 7th to 12th years. Conclusion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increasing understanding instruction would be the most effective factor to increase academic self-efficacy during 7th to 12th grades. The results also imply that parenting style and attachment with parents closely related with academic self-efficacy of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