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Non-fungible Token (NFT) Art, Future Art Led by Generation MZ, and Art-Tech
- 발행기관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 저자명
- 정유림
- 간행물 정보
-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제5권 제1호, 152~16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아트테크의 활성화를 기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지난 3년 동안 전 세계는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경제, 문화, 사회의 중심의패턴이 온라인으로 옮겨졌다. 국경과 세대를 불문하고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활동과 소비가 늘어났다. 가장 놀라운 것은 디지털로의 전환이 가장 느렸던 예술분야가 코로나19 사태이후 공연, 전시, 관람 등에 제한이 생기자 급속도로 온라인화, 디지털로 전환되었다. 실제로 국내에서는 지난 2021년 아트부산(Art Busan)을 시작으로 하여 키아프서울(Kiaf Seoul)에서 사상최대 판매 실적을 올렸다는기사들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자금은 MZ세대가 2021년 상반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거래하면서 생긴 자금들로 판매가 이루어졌다는 평이 이어진다. 이에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예술’이 ‘아트테크’를 하나의 작품으로 인정하는가에 대한 전환점에 MZ세대가 어떠한 역할을 하며, 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또한 코로나가 엔데믹으로 전환된 후에도 미술시장은 오히려 활기찼다. 예술산업과 디지털이 접목되어 다양한 예술장르가 탄생하게 되었고, 이러한 중심에 MZ세대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다가오는 NFT미술시장과 아트테크의 현황을파악하고 앞으로의 변화된 미술시장의 확대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facilitate art-tech led by Generation MZ. After going through COVID-19 for the past three (3) years, global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patterns have shifted from offline to online. In other words, digital technology-based activities and consumption hav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national border and generation. To be surprise, art which had been the slowest in terms of digital transformation, has been rapidly digitized since the cancellation or postponement of performances, exhibitions and other event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pandemic. According to domestic news articles, in particular, Art Busan and Kiaf Seoul recorded the largest sales in their history in 2021. It has been said that Generation MZ has engaged in such activities with the funds obtained by trading cryptocurrencies such as Bitcoin and Ethereum.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at roles MZers play and see what they can develop at this point when art is being recognized as ‘Art-Tech’. Even under the COVID-19 pandemic, art market has rather been on a bull run. With the convergence of art industry and digital technology, diverse art genres have been created, and MZer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this transformation. This study examines current NFT art market and Art-Tech situations and makes suggestions for the expansion of such new art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예술품의 디지털전환과 NFT미술
Ⅳ. NFT미술의 분석결과와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