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engthening of Fire and Seismic Safety in Apartment House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이승철 김학중 이성은 이재오 문정환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57~57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7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국문 초록
최근 5년간 국내 주택 중 공동주택의 비율은 `17년 기준 약 75.6%에서 `21년 기준 약 78.3%로 증가하였고, 전체 화재 건수 중 공동주택 화재 비율은 `17년 약 11%에서 `21년 약12%로 증가하였다. 공동주택이 주택 유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화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 확보 관심 향상을 위한 국가의 정책 기조를 반영하여 공동주택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화재 및 지진 안전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공주택의 화재⋅지진 안전 강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추진 전략과제는 지진안전, 화재안전, 첨단소방, 안전문화로 총 4개로 분류하여 수행하였다. 지진안전 분야에 대해서는 현재의 내진설계 방법에 대한 고찰 및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코드화된 내진설계 대신 공학적 내진설계로 건축물 내 소방배관의 신뢰성 및 안전성의 향상 방안을 제안하였다. 화재안전분야에 대해서는 생활공간의 안전강화, 화재안전기준 개선을 목표로 공동주택 내 공간 및 거주자에 따른 소방시설 적용, 공동주택용 피난설비 개발 고도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첨단소방분야에 대해서는 첨단소방 기술개발, 화재안전시스템구축과 기술경쟁력 제고를 목표하였으며, 전기차 화재 소화시스템개발, IoT를 활용한 화재예방기술 구축, 공동주택 화재위험특성의 정량적 분석 및 화재안전인증제도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안전문화분야에 대해서는 소방기술의 지원 강화, 소방기술자 역량 강화 및 안전문화 정착을 목표하였으며, 소방기술 지원사례 및 기술백서 확산, 건설현장 및 공사 중 화재안전 관리강화 방안, 소방 신기술 발굴 및 현장 적용성 확대, 공동주택 화재안전 현장교육 강화, 모바일 및 SNS를 활용한 화재예방 활동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동주택의 지진⋅화재안전 향상에 대한 추진전략 및 기술 로드맵을 제시하여 향후 공동주택의 안전사고 예방 및 피해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