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ord Learning Ability and Modifiability in First and Second Grade Poor Readers: The Role of Dynamic Assessment Format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정부자 김수정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8권 제1호, 33~5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국문 초록
역동적 평가는 학습의 양적 결과보다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아동의 학습역량 및 잠재력과 같은 질적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또한 아동의 학습 과정과 전략을 관찰하기 위해 여러 단계로 진행되고 구체적인 중재 방향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의미에서 정적평가와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검사-단기 중재 학습-재검사의 역동적 평가 절차에 따라 단기 중재 학습으로서 낱말 정의하기 학습경험을 제공하여 일반 아동과 읽기부진 아동이 보이는 차이와 특성을 확인하고 수정가능성 검사지표의 평가적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 1, 2학년 일반 아동 10명과 읽기부진 아동 10명이며, 사전 및 사후 낱말 정의하기 검사와 2회기의 낱말학습 중재 경험을 제공하였고, 각 회기마다 수정가능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 아동과 읽기부진 아동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사후 재검사 결과와 수정가능성 검사 결과의 차이를 보였으며, 회기와 집단에 따른 수정가능성 검사의 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 이는 역동적 평가에 기반한 단기중재학습 경험 및 사전-사후검사가 읽기부진 아동을 판별하는 데 유용하며, 수정가능성 검사 또한 평가적 타당성을 지님을 확인하는 결과이다. 이어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Dynamic assessment is the process of identifying qualitative characteristics such as children’s learning capabilities and potentials, focusing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quantitative outcome of learning. It is also differentiated from static evaluation in that it proceeds in multiple stages to observe learning process and strategies. This study provides a short-term word definition learning experience as a mediated learning intervention in the dynamic assessment process of test-teach-retest to identify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poor reading skills. A total of 20 first and second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10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10 poor readers. Children took part in a dynamic assessment task of word definition learning that consisted of a test-mediated learning experience-retest task. Results indicated that poor readers made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retest and modifiability scales. Dynamic assessment and modifiability scales showed potential as tools that inform the qualitative information. The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